전체 글 34

Ep. 210 구와 절을 "+" 감성으로 이해하기

말하는 방법(문법):활동(구), 사실(절)1. 연결고리가 되는 to, that:① to 활동(동사), ② that 사실(주어, 동사) 2. to: "활동을 더하는 다리"(1) 역할과 이미지to는 앞으로 나아가는 느낌을 줍니다.한 활동에 다른 활동을 더하는 역할을 합니다.예를 들어, to는 길의 "표지판"처럼 "무엇을 더 할지" 방향을 제시합니다.(2) 예문"I want to eat pizza."→ 내가 원하는 것에 + 피자를 먹는 활동을 더함."She needs to study math."→ 그녀가 필요한 것에 + 수학 공부 활동을 더함."They plan to visit their friends."→ 그들이 계획하는 것에 + 친구 방문 활동을 더함. 3. that: "사실을 더하는 다리" (1)..

기본문법 2025.01.22

Ep. 100 영어 문장의 비밀: 구조, 용어, 그리고 사실과 의견

https://youtu.be/LnviQS9ex9I?si=08ismD4IcgJWLgdB [1]. 영어와 한국어 문장 구조 비교영어와 한국어는 말하는 방법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이러한 차이를 이해하면 영어로 표현하는 사고방식에한 걸음 더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1. 한국어와 영어의 말하는 법의 차이한국어: "자연물1" - "자연물2" - "\발생/" 구조한국어는 자연물이 자연물끼리 서로 어울리는 관계를 설정하고,그에 따르는 사건, 현상, 행동을 문장 끝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구조화됩니다.예: [그 남자는 영어를] 열심히 \공부한다/.자연물1: 그 남자자연물2: 영어 발생: 공부한다 영어: "자연물1" - "\발생/" - "자연물2" 구조 영어는 자연물이 발생시킨 행동을 중심으로 하고,자연물이 서로 ..

기본문법 2025.01.05

수동태 시제 쌓기와 동사 분석법

https://youtu.be/XBCVHHFo0II?si=DviitfbhvJZpjsv4수동태 만들기 타임 스탬프: 12:07 자료출처: 김찬휘 영어 / Orthodox Grammar 오쏘독스 그래머아랫글은 김찬휘 선생님의 강의를 학습용으로 재구성한 자료입니다. 1. 수동태의 기본 원리수동태는 be + p.p. 구조로, 동사의 주어가 동작의 주체가 아닌 대상이 될 때 사용됩니다.다양한 시제와 조동사와 결합하여 표현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2. 조동사 + 수동태조동사 뒤에 오는 동사원형(VR)에 be + p.p. 를 추가하여 수동태를 만듭니다.구조: 조동사 + be + p.p.예문:능동: I will do the work. (나는 그 일을 할 것이다.)수동: The work will be done by me...

기본문법 2024.12.19

영어 위치문법과 구와 절의 품사 확장

https://youtu.be/M9gKFkeSXvI?si=eDT93m-ojoi5mZS7 [1] 위치문법1-1. 영어 문장의 품사와 위치영어에서 동사를 제외한 주요 품사는 명사, 형용사, 부사입니다.명사: 동사를 중심으로 앞에 위치하면 주어(S), 뒤에 위치하면 목적어(O)가 됩니다.형용사: 명사를 수식하며 명사 앞에 위치합니다.부사: 문장 전체, 동사, 형용사, 또는 다른 부사를 수식하며 문장의 앞, 중간, 또는 뒤에 위치할 수 있습니다.1-2. 문장 구조와 부사의 역할문장의 형식(S+V, S+V+O 등)은 주로 주어(S)와 동사(V), 그리고 목적어(O)나 보어(C)의 관계로 결정됩니다.부사는 문장의 형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의미를 보충하거나 문장을 풍부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1-3. 위치문법..

기본문법 2024.12.19

명사와 동사에 붙은 -s 접미어와 심리적 거리감 Ep2

영어에서 -s 접미어는 명사와 동사에 각각 다른 방식으로 사용되며, 이로 인해 심리적 거리감의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문법적 규칙을 넘어, 화자와 대상, 혹은 화자와 청자 간의 심리적 관계를 반영하는 언어적 장치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1. 명사에 붙은 -s: 복수형과 심리적 거리감명사에 붙는 -s는 대상을 복수형으로 만들어 단수에서 벗어나게 합니다. 이는 대상의 개별성을 희석시키고, 화자가 이를 보다 추상적이거나 일반적인 개념으로 바라보게 만듭니다.단수 형태의 심리적 거리감: 단수 형태는 특정 객체를 가리키며, 대개 화자와 청자 간의 심리적 거리가 가깝게 느껴집니다.예: a car는 하나의 자동차를 구체적으로 상상하게 하며, 심리적으로 밀접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복수형의 심리적 거..

기초문법 2024.12.16

동사의 세 가지 얼굴: 존재(Be), 행동(Do), 가능성(Might) Ep. 6

Be동사, 일반동사, 조동사를 존재, 행동, 가능성이라는 철학적 관점에서 해석합니다. 동사의 역할을 추상적 상태에서 현실적 행동, 그리고 가상적 가능성으로 나누어 언어의 깊이를 탐구해 보세요.1. Be동사: 존재의 절대적 표현특징존재 자체를 나타냄:Be동사는 상태나 존재를 단순히 서술하며, 동작보다는 존재의 본질을 드러냄.예: "I am here." (나는 여기에 있다.)추상적이고 이데아적:Be동사는 실제로 행동을 나타내지 않고, 추상적으로 상태를 전달.예: "It is beautiful."에서, "is"는 주어와 보어의 관계를 연결하며 존재를 나타낼 뿐, 스스로 드러나지 않음.진행형 불가:Be동사는 행동을 표현하지 않으므로 진행형으로 사용되지 않음.예: "I am being a teacher."는 논리..

기초문법 2024.12.15

영어 학습 초기에 꼭 알아야 할 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의 차이점 Ep.7

영어를 처음 배우는 학습자들에게 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 개념들을 바로 학문적으로 설명하면 초보 학습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여기서는 실생활과 연결해 명확하고 쉽게 설명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1. 명사 (Nouns):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명사는 사람, 동물, 물건, 장소, 그리고 생각이나 감정의 이름을 나타냅니다.쉽게 말해, 이름을 붙일 수 있는 모든 것이 명사입니다.예시사람: teacher(선생님), friend(친구)동물: cat(고양이), dog(개)장소: school(학교), park(공원)감정/생각: happiness(행복), idea(생각)TIP: "뭔가에 이름을 붙일 수 있다면 그것은 명사야"라고 생각해 보세요!2...

기초문법 2024.12.13

영어 학습 초기 어려움과 문제 해결 방안

영어 학습을 시작하는 학생들이 종종 겪는 어려움은 학습자의 능력 부족이 아니라 교육 방식의 한계에서 비롯되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네 가지 대표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문제의 원인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해 보겠습니다.1. 알파벳 b와 d, p와 q 구분 어려움(난독증;Dyslexia)문제의 원인흔히 난독증(Dyslexia)이라고 학습자의 장애로 특정 짓기 쉬운데 이는 지능이나 교육 수준과는 관련이 없습니니다. 난독증이 있어도 지능은 정상 범위이거나 그 이상일 수 있습니다.시각적으로 유사한 알파벳은 초보 학습자들에게 혼동을 일으키기 쉽습니다. 획의 순서나 파닉스에 집중하는 전통적인 교육 방식은 글자의 시각적 차이를 충분히 강조하지 못합니다."헷갈리고 있네?"와 같은 피드백은 인지는 ..

영어학습법 2024.12.13

크라센의 입력가설과 의문문, 부정문, 평서문을 활용한 영어 학습법 Ep5.

1. 크라센의 입력가설 핵심이해 가능한 입력 (comprehensible input): 학습자의 현재 수준(i)보다 약간 높은 수준(i+1)의 언어 입력을 제공해야 한다.의미에 집중: 문법적인 설명보다 문장이 전달하는 뜻을 이해하도록 돕는다.반복과 자연스러운 학습: 반복적으로 언어를 노출시켜 학습자가 자연스럽게 익히도록 유도한다.2. 학습 방법: 의문문, 부정문, 평서문 활용(1) 의문문으로 질문하기질문은 학습자가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며 사고를 자극한다.초기 단계: 간단한 yes/no 의문문으로 시작.예: "Is this a hand?" → "Yes, it is a hand."점진적 확장: 정보를 더 추가하며 복잡한 질문 연습.예: "Is this a big hand?"예: "Where i..

기초문법 2024.12.13

노암 촘스키의 신택스 트리로 영어 어순 이해하기: 영작 비법과 학습법 Ep4.

한국어와 영어 어순의 차이를 극복하는 효과적인 영작 학습법영어를 처음 배우는 학습자가 가장 먼저 부딪히는 문제 중 하나는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입니다. 한국어는 주어-목적어-동사(SOV) 구조를 따르고, 영어는 주어-동사-목적어(SVO) 구조를 따릅니다. 이 차이는 학습자가 영작을 시도할 때 흔히 실수를 하게 만드는 원인이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를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노엄 촘스키의 신택스 트리(Syntax Tree)를 활용한 시각적 접근법과 단계적 영작 비법을 결합한 학습법을 제안합니다. 1. 한국어와 영어 어순의 차이 이해(1) 어순 차이로 인한 학습자의 어려움한국어 어순을 영어로 직역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문법적 오류 발생.예: "그 남자는 언어학을 열정적으로 공부한다." → "The ma..

기초문법 2024.12.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