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문법 8

명사와 동사에 붙은 -s 접미어와 심리적 거리감 Ep2

영어에서 -s 접미어는 명사와 동사에 각각 다른 방식으로 사용되며, 이로 인해 심리적 거리감의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문법적 규칙을 넘어, 화자와 대상, 혹은 화자와 청자 간의 심리적 관계를 반영하는 언어적 장치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1. 명사에 붙은 -s: 복수형과 심리적 거리감명사에 붙는 -s는 대상을 복수형으로 만들어 단수에서 벗어나게 합니다. 이는 대상의 개별성을 희석시키고, 화자가 이를 보다 추상적이거나 일반적인 개념으로 바라보게 만듭니다.단수 형태의 심리적 거리감: 단수 형태는 특정 객체를 가리키며, 대개 화자와 청자 간의 심리적 거리가 가깝게 느껴집니다.예: a car는 하나의 자동차를 구체적으로 상상하게 하며, 심리적으로 밀접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복수형의 심리적 거..

기초문법 2024.12.16

동사의 세 가지 얼굴: 존재(Be), 행동(Do), 가능성(Might) Ep. 6

Be동사, 일반동사, 조동사를 존재, 행동, 가능성이라는 철학적 관점에서 해석합니다. 동사의 역할을 추상적 상태에서 현실적 행동, 그리고 가상적 가능성으로 나누어 언어의 깊이를 탐구해 보세요.1. Be동사: 존재의 절대적 표현특징존재 자체를 나타냄:Be동사는 상태나 존재를 단순히 서술하며, 동작보다는 존재의 본질을 드러냄.예: "I am here." (나는 여기에 있다.)추상적이고 이데아적:Be동사는 실제로 행동을 나타내지 않고, 추상적으로 상태를 전달.예: "It is beautiful."에서, "is"는 주어와 보어의 관계를 연결하며 존재를 나타낼 뿐, 스스로 드러나지 않음.진행형 불가:Be동사는 행동을 표현하지 않으므로 진행형으로 사용되지 않음.예: "I am being a teacher."는 논리..

기초문법 2024.12.15

영어 학습 초기에 꼭 알아야 할 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의 차이점 Ep.7

영어를 처음 배우는 학습자들에게 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 개념들을 바로 학문적으로 설명하면 초보 학습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여기서는 실생활과 연결해 명확하고 쉽게 설명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1. 명사 (Nouns):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명사는 사람, 동물, 물건, 장소, 그리고 생각이나 감정의 이름을 나타냅니다.쉽게 말해, 이름을 붙일 수 있는 모든 것이 명사입니다.예시사람: teacher(선생님), friend(친구)동물: cat(고양이), dog(개)장소: school(학교), park(공원)감정/생각: happiness(행복), idea(생각)TIP: "뭔가에 이름을 붙일 수 있다면 그것은 명사야"라고 생각해 보세요!2...

기초문법 2024.12.13

크라센의 입력가설과 의문문, 부정문, 평서문을 활용한 영어 학습법 Ep5.

1. 크라센의 입력가설 핵심이해 가능한 입력 (comprehensible input): 학습자의 현재 수준(i)보다 약간 높은 수준(i+1)의 언어 입력을 제공해야 한다.의미에 집중: 문법적인 설명보다 문장이 전달하는 뜻을 이해하도록 돕는다.반복과 자연스러운 학습: 반복적으로 언어를 노출시켜 학습자가 자연스럽게 익히도록 유도한다.2. 학습 방법: 의문문, 부정문, 평서문 활용(1) 의문문으로 질문하기질문은 학습자가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며 사고를 자극한다.초기 단계: 간단한 yes/no 의문문으로 시작.예: "Is this a hand?" → "Yes, it is a hand."점진적 확장: 정보를 더 추가하며 복잡한 질문 연습.예: "Is this a big hand?"예: "Where i..

기초문법 2024.12.13

노암 촘스키의 신택스 트리로 영어 어순 이해하기: 영작 비법과 학습법 Ep4.

한국어와 영어 어순의 차이를 극복하는 효과적인 영작 학습법영어를 처음 배우는 학습자가 가장 먼저 부딪히는 문제 중 하나는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입니다. 한국어는 주어-목적어-동사(SOV) 구조를 따르고, 영어는 주어-동사-목적어(SVO) 구조를 따릅니다. 이 차이는 학습자가 영작을 시도할 때 흔히 실수를 하게 만드는 원인이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를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노엄 촘스키의 신택스 트리(Syntax Tree)를 활용한 시각적 접근법과 단계적 영작 비법을 결합한 학습법을 제안합니다. 1. 한국어와 영어 어순의 차이 이해(1) 어순 차이로 인한 학습자의 어려움한국어 어순을 영어로 직역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문법적 오류 발생.예: "그 남자는 언어학을 열정적으로 공부한다." → "The ma..

기초문법 2024.12.12

영어 알파벳 기반 발음법 (알파벳 발음에서 모음을 분리하기) 발음기호 Ep.0

"안녕하세요! 여러분, 영어 발음 공부를 시작하려면 제일 먼저 뭐부터 해야 할까요? 바로 영어 단어를 정확히 읽는 방법을 배우는 거겠죠!그런데, 우리가 외운 단어를 읽으려다가 ‘어? 이 단어가 이런 발음이었어?' 하고 당황했던 적이 있으신가요? 이런 경험 때문에 많은 분들이 발음기호를 배우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발음기호를 처음부터 외우는 건 생각보다 쉽지 않죠.그래서 제가 여러분께 알려드릴 건, 알파벳 발음에서 모음을 분리하는 방법입니다. A부터 Z까지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알파벳 소리에서 모음 부분만 골라내면,놀랍게도 대부분 발음기호와 비슷하다는 걸 알게 되실 거예요!설명을 듣고나서 pdf파일도 링크 해드릴테니 자료도 다운 받아가세요~이제 함께 시작해볼까요? 알파벳 소리에서 모음을 분리하는 법, 지금..

기초문법 2024.12.10

무관사, 관사, 소유격: 영어에서 명사의 구체성과 거리감을 표현하는 방식 Ep3.

영어 대화를 연습할 때 소유격을 써야할지 the를 써야할지 a를 써야할지 아무것도 안써야할지 헷갈린 적이 있으셨나요?간단히 말하면 아래와 같이 화자에게서 관여가 강한 순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my가 가장 강력한 관계고 말하는 사람과 관계가 멀어질수록 복수명사(s)로 표기하거나 셀 수 없으면 단어에 다른 표기를 안하는 것이죠. my computer → your computer → the computer → a computer → computers  1. 소유격과 관사의 관계소유격과 관사는 영어에서 명사의 의미를 구체화하거나 화자의 관점을 드러내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두 가지는 명사의 구체성, 심리적 거리감, 그리고 화자의 관여도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며, 상호 보완적으로 작동합니다. 이 둘의 관계를 이해..

기초문법 2024.12.10

플라톤의 이데아론과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상과 질료 이론이 언어와 명사의 가산성에 미친 영향-Ep1

우리 생활속 주변을 둘러 보면 인상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플라톤의 이상적 삶과 같은 추상적인 명사 furniture, money, hope, happiness 같은 명사들은 못 세고, 현실세계에서 우리 손으로 직접 만질 수 있는 명사인 chair, table, bill, coin 과 같은 명사는 셀 수 있고, 그보다 아랫단계인 질료(재료)의 명사인 meat, beef, pork, salt, sand같은 명사는 셀 수 없습니다. 영어의 이런 가산성은 아리스토텔레스나 플라톤의 사상이 개입된걸까요? 플라톤의 이데아론과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상과 질료 이론이 언어와 명사의 가산성에 영향을 미쳤다는 생각은 매우 철학적이고 타당한 해석일 것 같습니다. 언어는 문화와 철학적 사고를 반영하기 때문에, 명사의 가산성과 불가..

기초문법 2024.12.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