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3

Ep.1 명사, 형용사 쉽게 구분하기; 빨간 사과와 초록 사과 – 공통점과 차이로 배우자!

https://youtu.be/9VXdAbkUoJ8 Ep.1 빨간 사과와 초록 사과– 공통점과 차이로 배우는 명사와 형용사 문법 수업에서 우리는 명사를 '사람, 사물, 장소, 생각의 이름'이라고 배우고, 형용사는 '명사를 꾸며주는 말'이라고 배우곤 합니다. 이런 설명은 간단하고 암기에는 도움이 되지만,정작 명사와 형용사가 지닌 본질적인 성격이나 감각까지는 잘 느껴지지 않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런 정의 대신,비교를 통해 의미의 차이를 느끼는 방식으로명사와 형용사를 새롭게 바라보는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1. 빨간 사과와 초록 사과"빨간 사과"와 "초록 사과"를 비교해봅시다.두 표현에서 공통된 것은 무엇인가요? 바로 '사과'입니다.이것이 명사입니다. 서로 다른 것은 무엇인가요?하나는 빨갛고, 다른 하나..

기본문법 2025.03.29

부사절 종속 접속사 2/2: that-S V 이외의 부사절

https://youtu.be/OoSzhZojfNQ 📌 that-S V 이외의 배경설명(부사절): 발생된 사실 vs. 미래 확률 문장에서 배경설명(부사절)은 사건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하지만 배경설명의 성격은 발생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 배경설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1) 이미 발생한 사건, 또는 매일 반복되는 확실한 사건 → 이유, 결과, 조건이 이미 확정됨.❓2) 미래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불확실한 사건 → 발생 여부나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의 결과가 불확실함.즉, 배경설명은 ‘이미 일어난 사건(과거)을 설명하는가’vs. ‘미래의 가능성을 조정하는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또한 현재는 단순한 ‘now(순간)’이 아니라,과거와 미래를 연결..

기본문법 2025.03.21

부사절 접속사 1/2: that의 확실성과 불확실성

https://youtu.be/peWPdKveXZg📌 "that S V"가 가진 3/3 역할!그리고 that-배경 이외의 배경설명(부사절) 이 사건은 이미 발생한 것인가, 아니면 앞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것인가?어떤 사건이 일어났다면 그 원인과 결과를 설명하는 문장이 필요하고,어떤 사건이 미래에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면 그 확률을 조정하는 문장이 필요하다.여기서 현재는 과거 없이도 미래를 위한 논리를 형성하는 해석의 도구이다.배경설명(부사절)은 "발생된 사건"에 대해서는 이유나 결과를 설명하고,"발생되지 않은 사건"에 대해서는 확률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 1️⃣ 확실성을 나타내는 "that S V" 배경 (부사절 종속 접속사) 1) 이유를 설명하는 "in that, now that""Now th..

기본문법 2025.03.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