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문법

부사절 종속 접속사 2/2: that-S V 이외의 부사절

whybee05 2025. 3. 21. 10:05

https://youtu.be/OoSzhZojfNQ

 

📌 that-S V 이외의 배경설명(부사절):
       발생된 사실 vs. 미래 확률

발생된사실→미래확률

 

문장에서 배경설명(부사절)은 사건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배경설명의 성격은 발생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 배경설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1) 이미 발생한 사건, 또는 매일 반복되는 확실한 사건
         → 이유, 결과, 조건이 이미 확정됨.
❓2) 미래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불확실한 사건
         → 발생 여부나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의 결과가 불확실함.

즉, 배경설명은 ‘이미 일어난 사건(과거)을 설명하는가’
vs. ‘미래의 가능성을 조정하는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now'가 아닌 '결정의 연속'인 현재

또한 현재는 단순한 ‘now(순간)’이 아니라,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는 ‘판단의 시간’이다.

현재는 ‘현(상태에서 가능 또는 존)재’하는 시간이며,
미래의 가능성을 조정(해석)하는 역할을 한다.

즉, 현재는 단순한 시간 개념이 아니라,
미래를 예측하고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that의 확실성 VS. 확장의 불확실성

 

📌 1️⃣ 이미 발생한 & 확실한 사건

📌 1️⃣-1 발생한 사건: 논리적 이유 (Reason)

이유를 설명하는 부사절은 이미 발생한 사건의 원인을 설명한다.
청자가 원인을 이미 알고 있는 경우와, 모를 수도 있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A) 상대방이 이미 알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이유  since, as
       →이미 알려진 사실을 전제로 논리를 확장할 때 사용

  • Since it’s getting late, we should leave soon.
    +🔎(시간이 늦어지고 있으니까) 떠나야 해.
  • As there was a lot of traffic, I was late.
     +🔎(교통 체증이 심해서) 늦었어.
    → 교통 체증이 심했다는 사실은 상대방도 쉽게 예상할 수 있는 정보.

 B) 상대방이 모를 수도 있는 이유  because

       새로운 정보를 설명해야 이해할 수 있는 이유

  • We stayed inside because it was raining.
    →우리는 실내에 있었다 +🔎 (비가 왔기 때문에)

 

📌 정리
"since, as" → 상대방이 이미 알고 있는 정보를 활용해 논리를 확장할 때 사용.
"because" → 상대방이 모를 수도 있는 정보를 전달할 때 사용.


📌 1️⃣-2 발생된 사실: 시간적 순서

사건이 이미 발생했거나, 반드시 결과가 나타나는 경우


1) 시간 (Time) : 사건이 이미 발생한 후 설명

  • When the alarm rang, I woke up immediately.
    → +🔎(알람이 울리자마자), 나는 바로 깼다.
    → 명확한 사건 후 즉각적인 반응

2) 비례 (Proportion): 한 사건이 다른 변화를 초래함

  • As the glaciers melted, sea levels rose.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이 상승했다.
    → 명확한 경향

3) 조건 (Condition): 특정 조건이 충족되면 반드시 결과 발생

  • If you heat water to 100°C, it boils.
     +🔎 (만약 물을 100도까지 가열하면), 물이 끓는다.
    → 과학적 사실

4) 상황 (Situation): 특정한 상황에서 일어난 동시 사건

  • While they were talking, the phone rang.
     +🔎(그들이 이야기하는 동안) 전화가 울렸다.
    →이미 진행 중에 발생한 사건

5) 양보 (Concession): 예상과 다른 결과가 확실함

  • Although the experiment failed, we gained valuable insights.
     +🔎(실험이 실패했지만), 우리는 가치 있는 통찰을 얻었다.
     실험이 실패한 것 → 명확한 사실 (확실함)
    → 실패에 반대되는 긍정적 결과

 

📌 정리
"When" → 과거의 특정한 시점을 기준으로 한 사건 설명.
"As" → 한 사건이 진행됨에 따라 발생한 변화 설명.
"If" → 자연 법칙과 같이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반드시 발생하는 사건.
"While" → 동시 발생한 사건을 설명.
"Although" → 예상과 다르게 나타난 확정된 결과.

 

📌 이 유형의 부사절은 과거의 사건, 자연법칙, 역사적 사실 등을 설명하는 데 적절하다.


📌 2️⃣ 아직 발생하지 않은 & 불확실한 사건: 미래 확률

 미래 가능성을 포함하며, 상황과 조건에 따라 다르게 전개됨

     → 인과 관계가 성립할 확률
     → 사건이 원인과 결과로 논리적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얼마나 높은가?
     
💁‍♀️ 미래관련 참고
  • 시간, 조건의 배경설명은 이미 미래의 불확실성을 포함하므로 will을 사용하지 않는다.
  • 불확실한 배경설명은 확정적인 미래의 의미를 나타내는 will과 어울리지 않는다.

 

1) 시간 (Time): 사건이 미래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 I will call you when I arrive.
    +🔎(내가 도착하면) 전화할게.
    →도착 시간은 불확정이지만 인과 발생시기는 확실

 

2) 조건 (Condition):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결과가 불확실함.

  • If the temperature drops below zero, the lake might freeze.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면) 호수가 얼 수도 있다.
    →조건이 충족되더라도 결과가 달라지거나 불확실할 수 있음

 

3) 비례 (Proportion): 한 사건이 반드시 다른 변화를 초래하는지 불확실

  • As technology advances, we might see changes.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변화가 있을 수도 있다.
    →경향성은 있지만 변화 여부 불확실(절대적 인과관계X)

 

4-1) 상황 (Situation): 언제 특정한 상황이 발생할지 불확실함

  • I will call you while I am traveling.
    +🔎(여행 중에) 전화할게.
    →전화할 시점이 불확실

4-2) 우연성(Chance) → 특정 조건 없이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 I met an old friend while I was shopping.
    +🔎(쇼핑하다가) 옛 친구를 만났다.
    →쇼핑하다가 우연히 옛 친구를 만났다.

 

5) 양보 (Concession): 예상과 다른 결과가 확실함

  • Even if it rains, we will go hiking.
    +🔎(비가 와도) 우리는 하이킹 갈 거야.
    →결과는 확정되었지만 원인과는 관계가 없음

 


📌 최종 정리: 이유/결과(이미 발생한 것;논리성) >

 vs.  시간 > 비례 > 조건 > 상황 > 양보
(발생되지 않은 것;확률성)

  • 이유(Reason), 결과(Result) → 이미 발생한 사건을 설명하므로 가장 확실
  • 시간(Time) → 특정 사건이 예정되어 있음 → 가장 확실
  • 조건(Condition) → 조건이 충족될지 불확실 →높은 확실성
  • 비례(Proportion) → 인과 관계의 경향성(비례관계)이 있음 → 조건부 확실성
  • 상황(Situation) → 상황이 성립할지부터 불확실 → 조건부 확실성
  • 양보(Concession) → 결과는 확정됐지만 원인과의 관계가 없음 → 원인과 충돌

📌 즉, "(이미 발생한 것) 이유/결과 > 시간 > 비례 > 조건 > 상황 > 양보"
     순으로 사건이 실제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


📌 핵심 정리

 

 부사절은 "이미 발생한 사건"을 설명하거나, "미래 확률"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같은 테마의 접속사라도 확실성 차이가 존재하며,
 조동사와 시제가 사건의 확실성을 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