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4

Ep.4-3-3 단어와 구 확장: 원어민의 사고🧠(철학)를 훔쳐보기

https://youtu.be/FMDNZWFPgk4🔸1. to부정사 부사구  – 화자의 이성적 판단과 방향 설계를 표현하는 구조to부정사 부사구는화자의 생각이나 판단에서 출발해,행동의 목적이나 이유, 결과를 설명하는 표현입니다.이 구조는 단순한 목적뿐 아니라,✔️ 판단의 근거,✔️ 예상치 못한 감정이나 반전,✔️ 가정적인 상황의 흐름까지 모두 담을 수 있습니다.즉, 앞으로 일어날 흐름을 설계하거나,지금 일어난 일에 의미를 부여하려는 말하기 방식입니다. 🔷 ① 예상된 목적 흐름의도적으로 설정한 방향에 따라 행동이 이어짐✔️ 전형적인 목적 표현예문:She studied hard to pass the exam.He got up early to catch the train.🔷 ② 예측 불가/비일상적 활동화..

기본문법 2025.05.26

Ep.4-3-2 단어와 구 확장: 원어민의 사고🧠(철학)를 훔쳐보기

🔸 1. to부정사: 기준과 목적을 제시하는 절대적 형용사구to부정사 형용사구는 ‘무엇을 해야 할 대상인가’를 말해주며,명사에 목적·기대·의무의 기준을 부여합니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활동을 전제로, 그 대상을 정의하거나 자격화하는 절대적 설명을 합니다.📌 예시a book to read → 읽어야 할 책 (기준화된 당위) → ✅ 절대성the first person to finish → 첫 번째로 끝마친 사람 (기준 충족의 자격 부여)an easy person to work with → 함께 일하기 쉬운 사람 (주관적 판단 기준)✔️ IT 제품 리뷰어 잇섭(ITSub)✔️ 칸트(순수이성 비판): “사물은 목적에 맞게 규정되어야 한다” 는 문장은, 칸트의 정언명령에서..

기본문법 2025.05.26

Ep.4-3 단어와 구 확장: 원어민의 사고🧠(철학)를 훔쳐보기

https://youtu.be/k_5g4uDN8YE✅ 3. 활동을 다루는 부사 역할 – to부정사 vs 분사구문🔹 핵심 관점: ‘quickly’, ‘yesterday’처럼 한 단어로 된 부사는지금 보이는 활동을 관찰해 단편적인 정보를 전달합니다.👉 활동 관찰(즉시적 표현)하지만 to부정사와 분사구문 부사구는문장 속 사실을 ‘활동의 흐름’에 따라 확장적으로 설명하는 구조입니다. 🔷 to부정사 부사구는감정, 목적, 판단 등 생각에서 출발한 이유를 담아,예상되는 방향이나 흐름을 이성적으로 설계합니다.→ ✅ 절대성 (논리적 판단 구조를 전제) 🔶 분사구문 부사구는이미 발생했거나 바로 실행 가능한 감각적 상황을 바탕으로,조건, 배경, 결과를 감각적으로 연결하고 설명합니다.→ 🔄 상대성 (상황 ..

기본문법 2025.05.25

Ep. 4-2 단어와 구 확장: 원어민의 사고🧠(철학)를 훔쳐보기!!- to부정사 vs. 분사편

https://youtu.be/e2Sq83rmyMY?si=epMWDdcgetP25BJx ✅ 2. 활동을 다루는 형용사 역할 – to부정사 vs 분사🔹 핵심 관점: to부정사와 분사는 모두 형용사구로서 명사의 특성을 설명하지만,그 대상에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은 다릅니다.to부정사는 해야 할 일, 기대되는 가능성을 설명하며,명사에 기준과 목적을 부여합니다 → 절대성분사는 이미 일어난 활동의 결과나 감정적 인상을 표현하며,명사에 경험적 차이와 감정의 흔적을 부여합니다 → 상대성🔹 핵심 비교 개념https://youtu.be/YBT4Jttxncw 🔸 1. to부정사: 기준과 목적을 제시하는 절대적 형용사구to부정사 형용사구는 ‘무엇을 해야 할 대상인가’를 말해주며,명사에 목적·기대·의무의 기준을 부여합니다..

기본문법 2025.05.10

Ep. 450 단어와 구 확장: 원어민의 사고🧠(철학)를 훔쳐보기!!-동명사편

https://youtu.be/czpuW1y8J58?si=2uxYPmBQVucse2Lo 🔸 동명사: 반복된 활동의 일반화와 사회적 평가동명사는 과거와 현재에 반복된 경험을 하나의 일반화된 개념으로 정착시켜문화적 습관, 사회적 역할(정체성), 보편적 평가를 표현하는 명사 역할을 합니다.→ 일상적이고 공유된 활동, 정체성과 규범성을 담고 있습니다.📌 예시Reading helps you relax. → 반복적이고 익숙한 활동의 일반화 → ✅ 절대성She is proud of being a teacher.→ She is proud + She is a teacher. → 감정 + 직업이라는 사회적 정체성 → 감정 of 원인You are responsible for being late.→ You are resp..

기본문법 2025.05.03

Ep. 440 단어와 구 확장: 원어민의 사고🧠(철학)를 훔쳐보기: to부정사편

https://youtu.be/itJSej0fldw?si=h0RSo_4EonlTWkYS ✅ 1. 활동을 다루는 명사 역할 – to부정사 vs 동명사🔹 핵심 관점:‘활동’을 하나의 개념으로 명사화할 때,to부정사는 주관적이고 부분적인 가능성,동명사는 객관적이고 전체적인 습관성을 나타낸다.→ 즉, to부정사는 발생 전의 가능성을,동명사는 반복된 경험의 총합을 말하며,철학적으로는 to부정사는 상대성, 동명사는 절대성을 지닌다.🔹 핵심 비교 개념I like swimming. but I don't like to swim here.🔸 to부정사: 미래 활동의 개념화와 주관적 판단 표현to부정사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미래의 활동을 하나의 목표 개념으로 명사화하며,개인의 판단, 감정, 의지를 투영하는 주관적 구조..

기본문법 2025.04.26

Ep.430 문법용어 4품사와 문장성분-철학적 접근

https://youtu.be/RE16jIe3fSY?si=VK55NP-Wa5Rk0ySg Ep.3 "절대성과 상대성으로 본 영어 품사 구조"언어는 어떻게 ‘존재’와 ‘변화’를 담아내는가? :단어를 넘어, 언어가 세계를 바라보는 방식우리는 전 시간에 품사에 대해 이렇게 배워보았습니다.명사는 ‘존재’를 말하고,형용사는 ‘차이’를 드러내며,동사는 ‘변화’를 나타내고,부사는 그 ‘변화의 흐름과 가능성’을 설명합니다.이번 편에서는 이 네 가지 품사를‘절대성과 상대성’이라는 철학적 관점으로 다시 조명해보려합니다.✅ 어떤 품사는 항상 같은 것(절대성)을 말하고,✅ 어떤 품사는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것(상대성)을 말합니다.🔹 1. 절대성과 상대성의 이원구조 1) 명사와 형용사빨간 사과 vs 초록 사과→ ‘사과’라는 공..

기본문법 2025.04.19

Ep. 425 동사와 부사의 차이(형용사와 부사의 차이)

https://youtu.be/4kdt-ALPJYc?si=xUziJTXDr02oyUQC 아래 내용은❗단순 암기하지 마세요~이 단어들은 시험용 정답표가 아니라,여러분 마음속 감정을 라벨링하는 스티커예요.“내가 지금 무슨 기분이지?”,“이 말을 어떤 느낌으로 하고 싶지?”그런 생각이 들 때,이 스티커 중 하나를 톡, 마음 위에 붙여보세요.그리고 만약…스티커가 잘 안 붙는다면?아직 감정이 잘 안 보이는 거예요.먼저 마음을 들여다보세요.그다음 말은, 자연스럽게 따라옵니다. 🧭 부사 레벨링 시스템🔹 주제별로 ‘명확 → 불확실’ 혹은 ‘강 → 약’ 으로 정렬해보자!평가, 판단: Evaluation, Judgment추측, 가능: Assumption, Possibility정도: Degree빈도: Fre..

기본문법 2025.04.12

Ep. 420 동사와 부사의 차이(형용사와 부사의 차이)

https://youtu.be/K_Il9YgarJA Ep.2 동사와 부사: 빨리 달리다, 천천히 달리다–확률과 흐름‘아마 올 것이다’, ‘매우 화냈다’, ‘자주 웃는다’, ‘천천히 걷다’처럼우리는 늘 그 가능성, 강도, 빈도, 방식까지 함께 말합니다. 이때 쓰이는 말이 바로 부사(adverb)입니다.동사가 행위의 뼈대라면,부사는 그 위에 생각의 가능성과 마음의 태도,그리고 행동의 리듬과 움직임의 분위기를 입혀줍니다.이번 시간에는“달리다”라는 하나의 동사를 중심에 두고,그 주변을 감싸는 부사의 확률과 흐름 이라는 개념을 통해말의 리듬, 그리고 생각의 가능성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1. 비교를 통한 차이의 체감“빨리 달리다”와 “천천히 달리다”를 비교해 봅시다.두 표현 모두에서 공통된 행위는 무엇인가요? → ..

기본문법 2025.04.05

Ep. 410 명사, 형용사 쉽게 구분하기; 빨간 사과와 초록 사과 – 공통점과 차이로 배우자!

https://youtu.be/9VXdAbkUoJ8 Ep.1 빨간 사과와 초록 사과– 공통점과 차이로 배우는 명사와 형용사 문법 수업에서 우리는 명사를 '사람, 사물, 장소, 생각의 이름'이라고 배우고, 형용사는 '명사를 꾸며주는 말'이라고 배우곤 합니다. 이런 설명은 간단하고 암기에는 도움이 되지만,정작 명사와 형용사가 지닌 본질적인 성격이나 감각까지는 잘 느껴지지 않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런 정의 대신,비교를 통해 의미의 차이를 느끼는 방식으로명사와 형용사를 새롭게 바라보는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1. 빨간 사과와 초록 사과"빨간 사과"와 "초록 사과"를 비교해봅시다.두 표현에서 공통된 것은 무엇인가요? 바로 '사과'입니다.이것이 명사입니다. 서로 다른 것은 무엇인가요?하나는 빨갛고, 다른 하나..

기본문법 2025.03.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