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문법

Ep. 440 단어와 구 확장: 원어민의 사고🧠(철학)를 훔쳐보기: to부정사편

whybee05 2025. 4. 26. 08:50

https://youtu.be/itJSej0fldw?si=h0RSo_4EonlTWkYS

 

 1. 활동을 다루는 명사 역할 – to부정사 vs 동명사

🔹 핵심 관점:

‘활동’을 하나의 개념으로 명사화할 때,
to부정사는 주관적이고 부분적인 가능성,
동명사는 객관적이고 전체적인 습관성을 나타낸다.

→ 즉, to부정사는 발생 전의 가능성을,
동명사는 반복된 경험의 총합을 말하며,
철학적으로는 to부정사는 상대성, 동명사는 절대성을 지닌다.


🔹 핵심 비교 개념

절대, 상대/ 확실, 불확실

I like swimming. but I don't like to swim here.

\to-V의 상대성 VS. V-ing의 절대성


🔸 to부정사: 미래 활동의 개념화와 주관적 판단 표현

to부정사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미래의 활동을 하나의 목표 개념으로 명사화하며,
개인의 판단, 감정, 의지를 투영하는 주관적 구조입니다.

 비일상적이고 일시적이며,
화자의 의도나 감정이 들어간 활동이 많습니다.

📌 예시

  • To learn a language takes time.
     → 개인적 목표 + 판단
        → 아직 발생 전 활동 → 🔄 상대성
  •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him.
     → 판단 + 개별적인 상황
  • It is exciting to travel alone.
     → 감정 + 일시적 경험
  • It is careless to leave the door open.
     → 판단 +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
  • To tell the truth was the right thing to do.
    → 개인적 부담되는 활동 + 판단

✔️ 일론 머스크 

✔️ 아리스토텔레스: 텔로스(telos)-목적론적 사고. 모든 것은 고유한 목적을 향해 움직임

     장 폴 사르트르: 존재는 본질에 앞선다. 인간은 스스로 선택을 통해 자신의 본질을 만들어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