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050kaBNTo60?si=JAcGGHMmxNpAbkxz
"that S V"가 가진 2/3 역할! 그리고 그와 대조되는 것
2. 어떤 대상을 <설명;형용사절>하는가?
"that-설명" vs. "wh-설명"의 차이!
"확정된 대상 설명 vs. 불확실한 대상 탐색"
문장에서 "that-설명" 은 이미 특정된 명사를 보충 설명하며,
설명할 대상이 가진 필수적인(어떤 조건이 없으면 그 대상이 될 수 없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반면, "wh-설명"은 아직 특정되지 않은 대상을 탐색하며,
불확실한 정보를 규명하거나 밝혀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팩트체크 아나운서(확정된 대상의 정보 추가)와
미스터리 해설가(미지의 대상에 대한 정보 탐색)의 역할을 비교합니다."
(2) wh-설명의 역할: 탐색적 정보 제공 & 대상 구체화
(미스터리 수집가; 관계사)
1) 탐색적 정보를 제공하며, 불확실한 대상을 구체화함 (미스터리 수집가)
- 탐정이 단서를 모아 퍼즐을 맞추듯이,
wh-설명은 모호한 대상을 하나씩 좁혀가며 설명한다. - "wh-설명은 불확실한 대상을 점진적으로 구체화하여 특정하는
역할을 하며, 문어체와 격식 있는 문장에서 선호된다."
📌 예문
- The person who^ helped me was very kind.
(🔎나를 도운 + 사람이 매우 친절했다.)
→ "사람"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음
→ who를 사용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 - I need a person who^ speaks Spanish.
(나는 사람이 필요해. +🔎 스페인어를 할 수 있는)
→ 어떤 사람인지 모름
→ who를 사용해 불확실한 대상을 탐색적 정보로 유도
→ 탐정이 단서를 좁혀가듯이, 문장에서 대상을 특정하는 역할을 함. - The book which I borrowed^ from the library is very interesting.
(🔎 내가 도서관에서 빌린 책이 매우 흥미롭다.)
→ "책"만으로는 어떤 책인지 불명확함
→ which를 사용해 대상을 구체화 - They used a method which^ was unusual.
(그들은 어떤 방법을 사용했다. + 🔎 일반적이지 않은)
→ "method"만으로는 어떤 방법인지 모호함
→ which로 더 구체적인 정보 제공 - The man whose car was stolen went to the police.
(🔎 자동차를 도난당한 + 남자가 경찰서에 갔다.)
→ "그 남자"만으로는 정보가 부족함
→ whose를 사용하여 "어떤 남자인지" 추가 정보 제공
2) 이미 알고 있는 대상이라도 "추가 정보"
(계속적 용법)를 덧붙일 때 사용됨
- wh-설명은 이미 특정된 대상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여
문장에서 다양한 역할을 한다.
- 청자를 부담스럽지 않게 함(부가정보; Incidental Information)
Tom, who isn’t great at cooking, made dinner for us.
(톰이 저녁을 준비했어. 참고로, 그는 요리를 잘 못해.)
→ "톰이 요리를 못한다"는 정보를 직접적으로 말하면 부담될 수 있지만
추가정보로 말해 부드럽게 전달 - 중요성을 자연스럽게 강조함 (은근한 자랑; Humblebragging)
I met Lisa, who speaks five languages, at the party.
(나는 파티에서 리사를 만났어. 참고로, 그녀는 다섯 개 국어를 해.)
→"리사를 만났다"는 사실을 자연스럽게 말하면서, 그녀의 뛰어난 능력을 강조.
직접적으로 "Lisa speaks five languages!"라고 하면 자랑처럼 들릴 수 있음. -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 (참고 정보; Supplementary Fact)
The Eiffel Tower, which was built in 1889, is a famous landmark in Paris.
(에펠탑은 파리의 유명한 랜드마크다. 참고로, 1889년에 지어졌다.)
→"에펠탑이 유명한 랜드마크"라는 핵심 정보를 전달하면서,
추가적인 배경 정보(건축 연도)를 덧붙여 독자의 이해를 도왔음.
3) "wh-설명"도 "that-설명"처럼 "필수 정보"
(제한적 용법)를 제공해 대상을 한정할 수 있음
- wh-설명은 사람과 사물을 명확하게 구별하여
글을 더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돕는다. - "a butcher is a man who ^sells meat."
(정육점 주인은 사람이다.+🔎 고기를 파는)
→ "who sells meat"가 없으면 "a butcher"가 무엇인지 명확하지 않음
→ 필수 정보 제공 - "A teacher is a person who^ helps students learn."
(선생님은 사람이다. +🔎 학생들이 배우도록 돕는)
→ "who helps students learn"이 없으면, "a teacher"의 정의가 불완전함
→ 필수 정보 제공 - I have a laptop which^ is very lightweight.
(나는 노트북을 가지고 있다.+🔎 매우 가벼운)
→ "laptop"만으로는 정보 부족
→ which로 추가 설명 - A scientist whose research changed the world will be speaking at the event.
(🔎 그의 연구가 세상을 바꾼 + 과학자가 행사에서 연설할 예정이다.)
→ 어떤 과학자인지 특정하는 필수 정보 제공
📌 미스터리 테마 테마 예문
- "We need a person who can solve this case."
(어떤 사람인지 특정되지 않음)
→"우리는 이 사건을 해결할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 "The person who he met is unknown to everyone."
"그가 만난 사람이 누구인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 "They used a method which was unusual.”
→"그들이 사용한 방법은 일반적이지 않았습니다." - "The place where she was last seen is still unclear."
"그녀가 마지막으로 목격된 장소는 어디인지 아직 불분명합니다." - "The reason why this incident happened is hard to explain."
"우리가 파악한 사건의 원인은 왜 이런 결과를 초래했는지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 "wh-설명"의 핵심 특징
-탐색적 정보-
❓ 불확실한 대상을 구체화하며, 탐색적 정보를 제공한다.
❓ 문어체와 격식 있는 문장에서 선호되며, 영국 영어에서 많이 쓰인다.
-필수 정보-
❗ 필수 정보(제한적 용법) 또는 추가 정보(계속적 용법)로 사용될 수 있다.
(3) 핵심 비교 정리
💁♀️ "필수 정보 vs. 추가 정보" 차이
📌 1. 필수 정보(Defining Information)
없으면 대상의 정체가 불분명해짐
= 빠지면 의미가 모호해지는 정보 → 대상을 결정하는 데 꼭 필요함
📌 2. 추가 정보(Non-defining Information)
없더라도 문장의 핵심 의미는 유지됨
= 없어도 대상이 누구인지 알 수 있는 정보 → 그냥 부가적인 설명
❗ "that-설명" → 필수 정보 제공 (대상을 명확하게 한정)
❓ "wh-설명" → 탐색적 정보 제공 (불확실한 대상을 구체화)
❓ "wh-설명의 추가정보(계속적 용법)" → 이미 특정된 대상에 추가 정보 제공
(4) 결론
"that-설명"은 필수 정보를 제공하여 대상을 명확하게 한정한다.
이미 특정된 조건을 설명하며, 듣는 사람도 이를 확정된 정보로 인식한다.
반면, "wh-설명"은 불확실한 대상을 탐색하며,
추가 정보를 제공해 점차 구체화하는 역할을 한다.

📌 that-설명과 wh-설명의 아이러니한 사용 차이 (핵심 요약)
- that-설명 → 논리적이고 정의적이지만, 구어체에서 선호됨.
➡ 짧고 간결해서 말하기 쉬움. - wh-설명 → 부가적 정보도 포함하지만, 문어체에서 선호됨.
➡ 문장이 길어지고 정보 전달이 명확해져 격식체에 적합. - that은 계속적 용법에서 사용 불가 → wh-설명이 문어체에서 많이 쓰임.
✔ 영국 영어 vs. 미국 영어 차이
- 영국 영어: 구어체에서도 who, which 선호
- 미국 영어: 간결한 that을 구어체에서 선호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문장이 얼마나 길어지고,
얼마나 쉽게 말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 요인이 된다. 😊
'기본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사절 종속 접속사 2/2: that-S V 이외의 부사절 (0) | 2025.03.21 |
---|---|
부사절 접속사 1/2: that의 확실성과 불확실성 (0) | 2025.03.14 |
관계대명사 that의 용법과 차이 (0) | 2025.02.28 |
명사절 that과 간접의문문(의문사절, 관계사의 명사적인 용법)의 차이 (1) | 2025.02.21 |
to부정사와 분사구문 확장: 부사적 용법 (0) | 2025.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