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문법

Ep. 230 구와 절: to부정사와 접속사 that 의 공통점과 차이점

whybee05 2025. 1. 25. 20:53

https://youtu.be/YhudpvtkvIw?si=j2PV9VzMU_vkdiv3

 

to V(활동) that S V(사실) 공통점과 차이점

구와 절 "+" 이미지

 

1. 공통점

 

(1) 동작과 정보의 연결

  •  표현 모두 말할 동작이나
    정보(사실) 추가적으로 연결합니다.

(2) 추가 정보 제공

  • 말하려는 내용을  구체적이고 풍부하게 만듭니다.

(3) 예시 비교

  • to V: 동작이나 활동을 연결하여 설명.
    : "I decided to go."
     내가 결정한 동작은 + '가는 '.
  • that S V: 사실이나 정보를 연결하여 설명.
    : "I decided that I would go."
     내가 결정한 사실은 + '내가  것이다'.

 


2. 차이점

구와 절의 차이점

 

(1) 시간적 초점

  • to V:
    미래 지향적이며, 계획과 의도를 나타냅니다.
    : "She hopes to visit Italy next year."
     그녀의 희망은 + 내년에 이탈리아를 방문하는 것.
  • that S V:
    미래뿐 아니라 과거와 현재에 대한 확정된 정보를 전달합니다.
    : "He confirmed that she visited Italy last year."
     그가 확인한 것은 + 작년에 그녀가 이탈리아를 방문했다는 사실.

 

 

(2) 불확실성과 확실성

to V 불확실성

  • to V (불확실성):
    행동의 결과가 미정이며 가능성만 포함.
    : "He hopes to win the race."
     그가 희망한 것은 + 경주에서 이기는 것이지만, 결과는 불확실.

 

that SV 확실성

  • that S V (확실성):
    이미 확인된 사실이나 결과를 전달 가능.
    : "He said that he won the race."
     그가 말한 것은 경주에서 이겼다는 확정된 사실.

(3) 표현 방식

  • to V:
    간결하고 추상적이며, 목적과 방향을 요약적으로 전달.
    : "She wants to succeed."
     간단히 성공 의지를 나타냄.
  • that S V:
    구체적이고 명확하며, 진술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술.
    : "She believes that she will succeed."
     그녀가 성공할 것이라는 구체적인 믿음을 전달.

 

3. 핵심 차이

  • to V:
    행동 지향적 표현으로, "무엇을  것인가?" 초점을 맞춤.
    : "They plan to start a business."
     그들이 계획한 행동은 + '사업을 시작할 '.
  • that S V:
    정보 지향적 표현으로, "무엇이 사실인가?" 초점을 맞춤.
    : "They announced that they started a business."
     그들이 발표한 것 + 사업을 시작했다는 사실.

 

최종요약

공통점:   말하려는 정보를 풍부하게 만들고, 의미를 확장.
차이점:

  • to V: 행동, 가능성, 불확실성을 전달.
  • that S V: 사실, 확실성, 정보를 전달.

핵심 메시지:
to V
 미래 가능성을 표현하는 다리,
that S V
 확정된 정보를 전달하는 문서입니다.